결혼 시즌이 돌아올 때마다 주말은 청첩장으로 꽉 찹니다. 그런데 단순히 ‘축하’만이 아닌, 하객 입장에서 피하고 싶은 시기가 있습니다. 이를 맞춰서 결혼식을 진행하면 훨씬 더 호감으로 바뀌게 됩니다 결혼식 비용 비싼 시즌 및 피해야 할 시기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결혼식 피해야 하는 시기
결혼식을 하는 분들은 결혼식장 예약이 잡히는 대로 예약을 합니다. 그런데 하객 입장에서는 항상 불평이 나오는 시기가 있으니 꼭 아래 시기는 피해서 결혼식을 진행하길 바랍니다.
1. 5월 – 황금연휴 겹치는 봄 성수기
- 어린이날, 석가탄신일 등 연휴 + 주말이 겹쳐 결혼식 폭주
- 숙박비·교통비 급등, 하객 일정 중복됨 → 피로도 ↑
- 결혼식 겹칠 가능성 높아 1일 2식장 돌기도 함
- 가족과 보낼 시간을 뺏기 때문에 불만이 높음
2. 10월 – 가을 웨딩 스드메 대란
- 날씨 좋고 휴가철 끝나 부담 적은 시기
- 가장 비싼 결혼 시기, 가장 신부가 선호하는 결혼 시기
- 예식장 잡기 어려워 겹치는 일정 많음
- 추석 직후엔 지출 많아 축의금 부담감↑
3. 12월 중순~말 – 연말 라스트 웨딩
- 연말 송년회/모임 겹쳐 체력적 부담↑
- 택시·대중교통 혼잡, 크리스마스 시즌 예약 전쟁
- 연말 보너스 직후라 청첩장 노리는 시기란 우스갯소리도
결혼하는 사람 입장에서 드는 비용 리스트 (2025년 기준)
항목 | 평균 비용 | 설명 |
---|---|---|
예식장 대관료 | 150~500만 원 | 시즌·장소에 따라 상이함 (성수기엔 급등) |
식대 (1인당) | 3~5만 원 | 하객 수 곱해서 계산 (예: 200명 → 약 600~1000만 원) |
드레스·헤어·메이크업 | 100~300만 원 | 웨딩 패키지 포함 여부에 따라 다름 |
스냅/본식 촬영 | 50~200만 원 | 스튜디오·작가 선택에 따라 다름 |
폐백·예단/예물 | 300~1000만 원+α | 가족 행사 포함 시 큰 변동 있음 |
결혼 비용 비싼 시즌
시기 | 이유 | 비용 상승 요인 |
---|---|---|
5월 (봄 성수기) | 연휴·야외 웨딩 수요 증가 | 예식장+식대 동시 상승, 1년 전 예약 필수 |
10월 (가을 성수기) | 날씨, 분위기 최고조 | 포토스팟 수요 급증, 스냅·식장 비용 급등 |
12월 (연말 시즌) | 연말기념 웨딩 수요 집중 | 예식장 잔여타임 프리미엄, 기타 경비 상승 |
해당 시기에 스드메도 엄청 비싸게 받기 때문에 꼭 피해서 결혼을 하길 바랍니다. 남들보다 쓸모없는 1.5배 지출을 더하고 싶지 않다면 무조건 피하는 게 좋습니다.
결혼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시기
시기 | 이유 | 혜택 |
1~2월 | 겨울 비수기 | 예식장 할인 많고 예약 수월함 |
3월 / 6월 / 11월 | 비성수기 전후 타이밍 | 인기 시즌 전후라 예약 여유, 비용 안정적 |
평일 오후 예식 | 주말 혼잡 피함 | 대관료·식대 할인 가능성 높음 |
남들과 같은 퀄리티로 결혼식을 올리지만 1.5배나 더 저렴하게 하고 싶다면 무조건 위에 있는 시기에 결혼식을 하는 게 좋습니다. 예식장은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계속 식장을 돌리기 위해 할인을 엄청 많이 하는 시즌입니다.
결혼 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시기는 언제인가요?
일반적으로 5월(봄), 10월(가을), 12월(연말)이 예식장, 스드메 등 동시 상승하여 부담이 큽니다. 이 시기는 예약도 조기 마감되므로 6개월~1년 전부터 준비가 필요합니다.
결혼 비용을 아끼고 싶다면 언제가 좋을까요?
진짜 저렴한 시기는 1월, 2월입니다. 겨울 결혼식 할인은 매우 많습니다.
하객 입장에서 가장 부담스러운 시기는 언제인가요?
5월, 10월, 12월입니다. 추가적으로 요즘은 8월 휴가에 해외 여행을 많이 가기 때문에 이 시기도 부담스러워 합니다.
요약
- 하객 입장에서 5월, 10월, 12월은 회피 1순위 시즌
- 5월, 10월, 12월은 스드메 대란, 결혼식 비용 급상 하는 시기
- 그러나 신부가 가장 원하는 결혼 시기가 5월, 10월임 이를 알고 예식장도 비싸게 받음
마치며
결혼식 비용 비싼 시즌 및 피해야 할 시기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요즘 국세청에서 스드메를 턴다고 하는데 세금 신고 잘하는 곳도 많기 때문에 크게 하락할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칩니다.